-
지역사회의 집단행동으로서의 한국과 슬로베이나의 도시텃밭
얼마전 슬로베니아의 유학생에게서 이메일로 문의가 왔었습니다. 이음텃밭의 연구와 관련하여 방문과 함께 인터뷰를 하고 싶다는 내용이었죠. 몇 번 이메일로 연락을 주고받다가 직접만나 유학생(박사과정) 비비와 그가 돕는 교수님의 연구자료를 보게되었습니다. https://casie.splet.arnes.si/urban-gardening-in-south-korea-and-slovenia-as-neighbourhood-collective-action/ 그리고, 흥미로운 이 연구는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와 이음텃밭을 통해 한국에서 도시텃밭을 통한 집단행동에 대해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찾아보니 보고서 원본이 링크되어 있어서, 그 보고서를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보고서 원본보기] Urban-Gardening-as-Neig..
2025.04.15
-
미래사회 도시농업의 필요성 - 복원에서 공생으로
미래 도시를 위한 필수 전략: 도시농업의 다차원적 필요성 1. 서론: 글로벌 도전과 도시농업의 부상도시농업의 정의와 범위도시농업은 단순히 도시에서 농사를 짓는 행위를 넘어, 도시 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뿐만 아니라 수목, 화초 등을 재배하고 1, 나아가 곤충 사육이나 양봉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의미한다.2 이는 건물의 옥상, 아파트 베란다, 자투리 공간, 공동체 정원, 더 나아가 수직농장이나 실내 공간까지 도시의 모든 잠재적 영역을 경작지로 활용하는 개념이다.1역사적으로 농업과 도시는 분리된 개념이 아니었다. 인류 문명의 초기 도시들은 농업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7, 산업화 이후 도시와 농업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최근 다시 농업이 도시 공간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2025.04.11
-
2025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정기총회를 마쳤습니다.
2025년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정기총회를 마쳤습니다.참여해주신 모든 회원 분들께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덕분에 올해도 활기차고 즐겁게 활동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2025년 정기총회 결과]재적인원 159명중 위임 포함 86명이 참석해주셨고, 4개의 안건이 모두 원안대로 통과되었습니다.특히 올해는 기존 이사의 임기만료로 새로운 이사와 대표를 선출하였습니다.- 대표(김충기), 이사(이은자, 이종범, 김보혜, 방제식), 감사(고정임, 이대원)2025년 정기총회 자료집 - 사업평가 결산, 감사, 사업계획 예산, 임원선출, 단체현황과 정관 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25년 정기총회 회의록 - 이날 회의 결과를 회의록에서 확인하세요.이날 총회는 공연과 활동공유로 시작했습니다.공연중에 가장 먼저 준비를 시작..
2025.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