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탐방5

[도시농업 지역탐방] 포항, 경주 1박2일 (7. 16-17) [지역탐방] 7월 경북포항 경주에 확대되는 도시농장들! 2025. 7. 16 ~ 17.경북 포항, 경주 일대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는 도시농업지원센터 사업으로 전국의 도시농업현장을 방문견학하는 [지역탐방]을 진행합니다. 다양한 방식의 도시농업실천, 도시텃밭운영을 보고 듣고 경험하고 이를 통해 도시농업활성화의 다양한 적용을 시도해볼 수 있도록 도시농업활동가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아울러 견학보고서와 영상업로드로 더 많은 도시농업참여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5년 7월 탐방지는 경북지역입니다.포항과 경주지역 인근의 도시농업단체와 단체활동으로 확대되는 도시농장을 견학합니다. 일정일 시구 분내 용1일차 (7월 16일)9:00 -출발인천에서 출발14:00 - 16:00도착 및 간담회도시농업협동조합 경.. 2025. 6. 27.
[지역탐방 8] 부천시 도시농업, 공동체로 나아가는 중. 인천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 부천은 이름도 비슷하고 부평과는 같이 붙어있는 공동생활권 같은 지역이다. 이번 탐방때는 가보지 않았지만 상동호수공원에도 텃밭이 운영중이다. 상동호수공원은 인근 삼산동, 부개동 부평의 시민들도 많이 이용하는 공원이지만 부천시 관할 공원이다. 10월 도시농업 지역탐방은 가까운 부천을 방문했다. 고리울 청춘농장지난해 조성된 고리울 청춘농장은 버섯을 키우는 노인일자리에서 시작한 뿌리를 두고 있는 청춘농장의 이름을 이어받아 고강동에 새롭게 자리를 잡은 농장이다. 그러다보니 버섯키우는 일자리사업이 지금도 지속중이고, 버섯재배시설이 운영중이다. 체험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버섯재배시설과 함께 딸기재배시설과 채소재배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서 운영중이다. 다른 한쪽에는 쉼터와 교육장을 겸하는 공간.. 2024. 11. 11.
[지역탐방 7] 도시농장과 도시농부들의 공동체, 고양도시농업네트워크 글쓴이 : 조이(석지영)지난 2024년 9월 26일, 고양도시농업네트워크의 벽제농장과 자유농장에 다녀온 후기를 올립니다. ​​추석이 한참 지났는데도 여전히 뜨거운 날, 인천에서 2시간 거리에 있는 고양도시농업네트워크(이하 고도넷)의 ‘벽제농장’을 방문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이 세번째 지역 탐방이라 다른 도시 텃밭이 어떤 모습인지 아직 감이 잡히지 않는다. 외연은 비슷하지만 각기 걸어온 길과 고민이 다른 텃밭 베테랑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기대된다. ​도시농업의 역사, 벽제농장벽제농장은 고양시와 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개명산 자락 아래 수녀골에 위치해 있다. 한때 60여명의 여성 기독교인이 수도자의 삶을 지향하며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 ‘수녀골’이라 불리기 시작했으나 지금은 연로하신 세 분만 살고 있다. 그 .. 2024. 10. 18.
[지역탐방 6] 대구의 도시농부들 그리고 생태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9. 6.
[지역탐방-3] 곡성으로 귀농한 청년들 '자자공' 그리고 항꾸네협동조합 올해 지역탐방을 계획하면서 4번의 탐방은 그야말로 먼 지역으로 1박2일로 방문하기로 했다. 5월 탐방은 20일 광주, 21일 전남 곡성으로 정했다. 5월 20일 광주 탐방일정을 마치고 어둑어둑해질 무렵 곡성으로 향했다. 생각보다 너무 가까워서 놀랐다. 사실 곡성은 도시라고 하기 어렵고, 도시농업활동을 하는 곳도 아니다. 토종씨드림 변현단 대표가 머물면서 토종농사를 짓고 있는 은은가(사실상 씨드림의 본부 같은 곳이다.)가 있고 이곳을 중심으로 전국의 토종활동가들이 연결되기도 하지만 우리가 방문한 곳은 조금은 색다른 곳이었다. 2018년부터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활동가인 농부(임진실)는 단체활동가로 상근하면서 항상 농사짓는 삶을 꿈꾸었다. 중간중간 반상근을 하면서 인천에서도 농사에 좀 더 집중하던 시기도 .. 2024.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