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초 14기 도시농업전문가과정이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럼 전문가과정을 수료하신 분들은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요?
네. 교육의 현장에서 수업참여자들과 함께 실제로 텃밭을 가꾸고, 텃밭활동과 연관된 다양한 가치들을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장 수업을 나가기엔 모르는 것도 참 많고, 준비해야할 것들도 많습니다.
이러한 예비 텃밭강사들과 교육현장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생태텃밭 강사풀을 넓히고자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는 인천대학교 평생교육원과 생태텃밭강사양성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생태텃밭 강사 활동을 계획중인 [도시농업전문가 과정] 수료자라면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였으며, 총 열 두 분이 신청해주셨습니다. 2025년 8월 28일을 시작으로 매주 월, 목 생태텃밭강사양성과정 수업이 시작되었습니다.
‘도시농업전문가과정 수료’라는 기본 자격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니만큼 본 수업은 단순히 작물을 잘 기르기 위한 내용 보다는, 농사의 다원적 가치, 그리고 도시에서 농업을 한다는 것, 기후위기 시대의 생태전환교육으로서의 텃밭농사를 매개로 어떻게 학습대상자들에게 다가갈 것인지를 차근히 고민해보는 시간들로 채워졌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학교 텃밭 교육의 사례들을 살펴보았고, 수업 대상과 공간에 따른 수업의 형태, 교구, 교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학교에 방학 스케줄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어떤 작물을 가지고 수업을 하면 좋을지, 절기별로 다뤄야할 작물들과 작부체계디자인을 배웠습니다. 최근에는 교육자로서 지녀야할 인권감수성에 대해서도 세밀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평생교육 앞 틀밭에서 가을작물 실습도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배추들에 벌레가 송송 구멍을 내놓은 것을 보며 아이들과 함께 이 벌레들을 만나게 된다면 어떤 태도여야 할지 함께 논의하는 시간들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졌습니다. 밀집하여 난 무 싹을 솎아내는 작업 이후에는 각자 가져온 밥과 반찬들을 한 양푼에 넣어 비빔밥을 만들어먹기도 하였습니다.
김정숙님은 계양 농업기술센터에서 전문가과정을 이수하셨고, 도시농업전문가회 카페에서 해당 과정을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늘봄학교 강사로 주1회 학교 학생들을 만나고 있는데, 학생들의 손에 항상 핸드폰만이 들려있는 모습을 보며 충격을 받으셨습니다. 지금 아이들에게 필요한건 텃밭에서 몸소 느끼는 생태교육이지 않을까 생각하셨고, 본 생태텃밭강사양성과정을 거쳐 본인이 수업을 진행한다면, 아이들이 핸드폰 대신 흙과 작물들을 만지며 체험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표현하셨습니다.
김성영님은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진행한 도시농업전문가과정을 수료하고 바로 생태텃밭강사양성과정을 수강하고 계십니다. 성영님은 새로운 일자리를 찾다가 도시농업전문가 과정을 알게 되셨습니다. 점점 수업속에서 생태환경을 직접 체험하며 곤충과 공존하는 방법을 생각해보게 되었고, 그러면서 내가 먹는것이 어디로부터 오는지 생각해보게 되셨다고합니다. 끝으로 앞으로의 강사활동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하기를 기대하신다고 답해주셨습니다.
9월 후반과 10월 전체기간 동안에는 실제 교육현장에 들어가 강사 선배님들의 수업을 참관하는 시간이 진행 될 예정이며, 마무리 과제로써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실습 과정이 남아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의 생태전환활동으로서의 농사, 이기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에 공공성을 다시 회복하는 농사, 회색 도시의 다채로운 색감을 입히는 농사. 이 도시농업의 다양한 기능들을 각각의 예비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만나 어떻게 풀어내게 될지 기대가 됩니다.
2025 생태텃밭강사양성과정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뉴스레터 기자단 오목눈이
newsletter@dosinong.net
'도시농업 > 도시농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종농부단] 네 번째 이야기 '토종배추 판매와 토종배추 특강' (0) | 2025.09.22 |
---|---|
[공동체텃밭 통신] 서창텃밭, 가을농사와 손맛 가득한 공동체의 시간으로 초대합니다! (1) | 2025.09.01 |
[공동체텃밭 통신] 밭도, 마음도 풍성해진 도림텃밭 8월 이야기 (3) | 2025.09.01 |
[토종농부단] 세 번째 이야기 '가식 작업하기' (1) | 2025.08.31 |
[토종농부단] 두 번째 이야기 '토종배추 모종 만들기' (1)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