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추적 비가 쏟아지는 토요일 오전입니다.
토종농부단의 움직임이 분주합니다. 이날은 토종농부단이 지난 여름동안 땀 흘리며 담아낸 노력을 선보이는 날이었습니다.
남촌농산물도매시장 업무동에서 토종배추 모종을 판매하고, 토종배추와 무에 관한 특강이 진행되었습니다.
씨앗과 토종농부단, 씨앗이음 구성원들이 자리 한 켠에 모종을 수량에 맞춰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하나둘 토종배추에 관심있는 많은 분들이 유형민 선생님의 강의를 듣기위해 자리를 채워주셨습니다.
오목눈이 기자도 살며시 자리에 앉아 유형민 선생님의 강의를 들었는데요. 유형민선생님께서는 배추의 기원부터, 비결구, 반결구, 결구 배추의 모양과 특징들, 배추의 재배방법, 방제법까지 배추 농사에 전반에 대한 부분을 차근히 소개해주셨습니다. 토종배추중에 비결구 배추로는 경성배추, 조선배차 등이 있고, 반결구 배추로는 우리 토종농부단이 키웠던 구억배추, 청방배추 등이 있습니다.
비결구 배추의 경우 60일 재배해도 충분하지만 반결구배추와 결구배추는 속을 채우기 위해 90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배추는 배추 뿐만 아니라 다른 십자화과 작물과도 교잡이 잘 되는 특성을 가진다고 합니다.
더불어 유형민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의 전통농사는 토종 작물을 심는 가족농, 텃밭농이였다는 이야기를 함께 해주셨습니다. 인간의 힘으로만 농사를 짓는다는 오만한 생각이 아니라 토종 씨앗의 병해충을 이겨내는 능력, 기후, 풍토 적응력이 농부에게 힘이 되어주며 서로의 에너지로 함께 짓는 농사였습니다. 그렇기에 내 생활에 충실하면서 농사를 지어도 전통농사에서의 농부는 농사에 들이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산업화가 이루어지고 대규모 단작으로 농사가 돈벌이 수단이 되면서 농부는 이것에만 온 에너지를 쏟아야하는 구조로 변화하였습니다. 가족 텃밭에서 키워 다양하게 먹을 수 있었던 작물들은 이제는 돈으로 사서 먹어야하고, 집에서 먹고 나온 음식물이 퇴비가 되어, 다시 밭으로 가고, 밭에서 난 작물이 다시 식탁에 오르는 선순환의 고리가 끊기게 되었습니다. 단작으로 병해충에 취약한 작물은 농약으로 관리하고, 인간의 손길을 더 받아야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형민 선생님은 도시농업이야말로 이러한 산업농의 문제를 끊어내고 토종씨앗을 심는 조상들의 농사를 이어나갈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도시농부는 바쁘게 일을 합니다. 그리고 퇴근 전후, 주말에 농사를 짓습니다. 그렇기에 도시농부는 작물의 힘을 믿어야 합니다. 도시농업은 새롭게 만들어진 농사가 아니라 우리의 전통방식을 계승한다는 선생님의 말씀이 큰 울림으로 다가왔습니다.
무엇보다도 가장 인상깊었던 내용은 기후위기 시대의 도래와 배추농사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배추농사를 짓기위해 필요한 온도는 15도에서 20도 사이입니다. 하지만 기후위기가 우리들의 코앞에 다가오며 여름은 점점 더 길어지고, 겨울은 빨리 찾아오는 탓에 배추들이 제대로 자랄 수 없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우리가 배추농사를 하는 마지막 세대가 될 수도 있다는 선생님의 말씀이 마음을 무겁게 만들었습니다.
배추를 잘 키우기 위해 들었던 특강인데 배추를 둘러싼 다양한 내용들을 속이 꽉차게 들어볼 수 있었던 특강이었습니다. 두 시간남짓 알찬 수업 준비해주신 유형민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특강이 끝나고 토종농부단의 모종 판매가 시작되었습니다.
미리 주문하신 분들과 특강을 듣고 관심이 생겨 구매하신분들이 하나둘 모판을 손에 들고 문밖으로 나가셨습니다.
부디 모종들이 밭에 잘 뿌리내려주기를 바라봅니다.
그럼 이제 남은 모종을 토종농부단도 심어봐야겠죠? 다음 시간에는 모종을 정식하고 씨앗 파종을 할 예정입니다. 그럼 다음 이야기도 기대해주세요!
뉴스레터 기자단 오목눈이
newsletter@dosinong.net
'도시농업 > 도시농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생태텃밭 강사 양성과정] 학교와 텃밭 사이의 징검다리를 내다. (0) | 2025.09.22 |
---|---|
[공동체텃밭 통신] 서창텃밭, 가을농사와 손맛 가득한 공동체의 시간으로 초대합니다! (1) | 2025.09.01 |
[공동체텃밭 통신] 밭도, 마음도 풍성해진 도림텃밭 8월 이야기 (3) | 2025.09.01 |
[토종농부단] 세 번째 이야기 '가식 작업하기' (1) | 2025.08.31 |
[토종농부단] 두 번째 이야기 '토종배추 모종 만들기' (1)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