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태전환 미래사회

미래사회 도시농업의 필요성 - 복원에서 공생으로

by 아메바!(김충기) 2025. 4. 11.

미래 도시를 위한 필수 전략: 도시농업의 다차원적 필요성

 

1. 서론: 글로벌 도전과 도시농업의 부상

도시농업의 정의와 범위

도시농업은 단순히 도시에서 농사를 짓는 행위를 넘어, 도시 내 다양한 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뿐만 아니라 수목, 화초 등을 재배하고 1, 나아가 곤충 사육이나 양봉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의미한다.2 이는 건물의 옥상, 아파트 베란다, 자투리 공간, 공동체 정원, 더 나아가 수직농장이나 실내 공간까지 도시의 모든 잠재적 영역을 경작지로 활용하는 개념이다.1

역사적으로 농업과 도시는 분리된 개념이 아니었다. 인류 문명의 초기 도시들은 농업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7, 산업화 이후 도시와 농업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최근 다시 농업이 도시 공간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4 이러한 변화는 도시농업의 역할이 과거의 식량 생산 중심에서 벗어나, 도시민의 건강 증진, 도시 환경 개선, 생태 교육, 공동체 회복,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이라는 다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4

도시농업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옥상 공간을 활용하는 옥상텃밭은 설치 방식에 따라 이동이 용이한 용기형, 구획된 공간을 만드는 베드형, 옥상 전체를 활용하는 포설형 등으로 나뉜다.1 지역 주민들이 함께 가꾸는 공동체 텃밭은 공동체 의식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최근에는 기술 발달과 함께 수직농장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건물 내부나 별도 구조물에서 수경재배, 분무경재배(Aeroponics), 아쿠아포닉스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6 이 외에도 학교 텃밭(스쿨팜), 베란다 텃밭, 실내 정원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4, 각 유형은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지닌다. 예를 들어, 옥상텃밭은 구조적 하중 제한을 고려해야 하며 3, 수직농장은 높은 초기 비용과 에너지 소비가 단점으로 지적된다.15 아래 표는 주요 도시농업 유형별 특징을 요약한 것이다.

표 1: 주요 도시농업 유형별 특징 비교

 

유형 주요 위치 핵심 기술/특징 주요 장점 주요 제약/과제
옥상텃밭 건물 옥상 용기형, 베드형, 포설형; 토양층 인위적 조성 1 공간 활용, 열섬 완화, 에너지 절감, 경관 개선 1 구조물 하중 제한, 방수 처리 필수, 강한 광선 3
공동체 텃밭 유휴지, 공원 일부, 주택단지 내 공간 등 공동 경작 및 관리, 커뮤니티 중심 운영 11 공동체 형성, 사회적 교류 증진, 교육 효과 4 토지 확보 및 장기 사용의 어려움, 참여자 간 갈등 가능성 22
수직농장 건물 내부, 컨테이너, 전용 시설 수경/분무경/아쿠아포닉스, LED 조명, 환경제어(CEA) 14 높은 공간효율, 물 절약, 연중생산, 농약 사용↓, 기후 무관 6 높은 초기 비용, 에너지 소비량, 기술 의존성, 제한된 작물 종류 15
학교 텃밭 학교 내 유휴 공간 교육 과정 연계, 학생 참여 중심 5 생태 교육, 농업 체험, 정서 함양, 식습관 개선 3 공간 부족, 지속적 관리 인력 및 예산 필요
베란다/가정텃밭 아파트 베란다, 주택 정원, 실내 상자, 화분 등 소규모 용기 활용 1 접근성 용이, 개인적 취미/여가, 신선 채소 자급 4 제한된 공간 및 일조량, 재배 가능 작물 제한

 

시대적 배경: 도시화, 기후변화, 식량 안보의 위기

도시농업의 필요성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복합적인 위기 상황 속에서 더욱 부각된다. 첫째, 급격한 도시화는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인구 집중과 도시 확장을 야기했다. 이 과정에서 도시는 녹지 공간 감소, 생활 환경 악화, 대기 오염, 열섬 현상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3, 경제 성장 우선 정책으로 인해 도시와 주변 지역의 자연 환경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27 이는 도시민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고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기후변화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중대한 문제이다. 지구 평균 기온 상승, 이상 기후 현상 빈발 등은 전통적인 농업 생산 시스템에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28, 도시의 폭염과 홍수 위험을 증가시키는 등 도시 환경의 불안정성을 높이고 있다.14 기후변화는 식량 공급의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핵심 요인으로, 전 지구적 핵심 의제로 다뤄지고 있다.28

셋째, 전 세계적인 식량 안보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2050년까지 세계 인구는 96억에서 10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31, 이에 따라 현재보다 50~70% 더 많은 식량 생산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온다.10 또한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과 식생활 변화로 육류 소비가 증가하면서 곡물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31 이러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곡물 공급망 불안정 34, 북한의 가뭄 피해 35 등은 기존 식량 시스템의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식량 부족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식량 접근성 문제 역시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36

이처럼 도시화, 기후변화, 식량 안보 문제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복합적인 위기, 즉 '위기의 연결망(nexus of crises)'을 형성한다. 도시 확장은 농경지를 잠식하여 식량 생산 기반을 도시 외곽으로 밀어내고 27, 이는 푸드 마일리지를 증가시켜 관련 탄소 배출을 늘린다. 동시에 기후 변화는 전통 농업 생산성을 위협하고 28 도시 열섬 현상을 심화시켜 3 도시 거주 환경을 악화시킨다. 이러한 환경 악화는 특히 취약 계층의 식량 접근성을 더욱 위협할 수 있다.36 결국 도시는 식량 수요 증가, 지역 공급 능력 저하, 거주 환경 악화라는 악순환에 직면하게 되며, 이는 도시농업과 같은 도시 중심적 해결책의 필요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핵심 주장: 미래 도시의 필수 전략으로서의 도시농업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여, 도시농업은 더 이상 도시의 부가적인 편의 시설이나 취미 활동이 아닌, 미래 도시의 지속가능성, 회복탄력성, 형평성, 그리고 거주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략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도시농업은 도시 공간의 환경 문제를 완화하고, 파편화된 도시 사회를 연결하며, 불안정한 먹거리 시스템을 보완하는 다차원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한국농촌경제학회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도시농업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모두 합쳐 총 5조 2,367억 원에 달하는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37 이는 도시농업이 단순한 이상이 아닌,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 중요한 산업이자 사회 활동임을 증명한다. 따라서 본 보고서는 도시농업이 미래 사회의 도시 공간, 도시 사회, 그리고 먹거리 대안 측면에서 왜 필수적인지를 구체적인 근거와 함께 논증하고자 한다.

2. 도시 공간의 재창조: 환경적 필요성

녹지의 통합: 도시 생태계 서비스 및 거주성 향상

급격한 도시화는 필연적으로 녹지 공간의 감소를 동반하며, 이는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을 악화시키고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3 도시농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건물 옥상, 베란다, 자투리땅 등 도시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녹지를 도입하는 수단이다.1

도시농업을 통해 조성된 녹지 공간은 단순히 미적인 가치를 넘어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식물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며, 잎과 줄기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도시의 공기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1 이는 특히 대기 오염이 심각한 도시 환경에서 중요한 기능이다.3 또한, 텃밭과 정원은 삭막한 도시 경관에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활력을 더하고 1, 도시민에게 자연과의 접촉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킨다.4

이러한 녹지 공간은 도시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1 특히 옥상 녹화는 도시 환경 개선에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된다.20 중요한 점은 도시농업이 단순한 녹지 공간 조성을 넘어 '생산적인' 녹지 공간을 창출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공원이나 장식용 녹지와 달리, 도시농업 공간은 미적, 생태적 이점과 더불어 식량 생산, 공동체 활동, 교육의 기회까지 통합적으로 제공한다. 이는 제한된 도시 공간을 활용하여 단위 면적당 더 높은 밀도의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는 효율적인 방식이며, 도시의 전반적인 복지와 지속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기후 회복력 강화: 열섬 현상 완화 및 물 관리

도시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는 태양열을 흡수하고 방출하여 도시 중심부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 열섬 현상을 유발한다.1 이는 도시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여름철 폭염 시 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도시농업은 이러한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옥상텃밭을 비롯한 도시 내 녹지는 식물의 증발산 작용과 토양의 수분 보유 능력을 통해 주변 온도를 낮추는 냉각 효과를 제공한다.1

또한, 옥상텃밭의 토양층은 건물 지붕의 단열재 역할을 하여 여름철에는 냉방 부하를 줄이고 겨울철에는 난방 효율을 높여준다.1 이는 건물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로 이어진다.

도시농업은 물 관리 측면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한다. 도시의 불투수층 증가는 강우 시 빗물 유출량을 증가시켜 도시 홍수 위험을 높인다. 텃밭의 토양과 식생은 빗물을 흡수하고 저장하여 유출 속도를 늦추고 총 유출량을 감소시킨다.3 이는 도시의 홍수 방재 능력을 향상시키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며 3, 나아가 지하수 함양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3 이러한 기능들은 기온 상승과 집중 호우 증가 등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도시의 적응력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더 나아가, 도시농업은 단순한 녹화를 넘어 도시 인프라 시스템의 일부로 기능할 수 있다. 도시농업 공간이 제공하는 냉각 및 빗물 관리 기능은 기존의 회색 인프라(냉방 시스템, 하수관 등)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준다. 이는 에너지 소비 감소와 배수 시스템 용량 확보에 기여하며, 잠재적으로 고비용의 인프라 증설 필요성을 낮추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즉, 도시농업은 도시 시스템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효과적인 녹색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전략으로 간주될 수 있다.

콘크리트 정글 속 생물다양성 거점

도시화는 생물 서식지를 파괴하고 단편화시켜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심각하게 위협한다.27 도시 지역의 자연 환경을 회복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과제이다.27 도시농업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텃밭, 옥상정원, 녹지 복도 등 도시농업을 위해 조성된 공간들은 다양한 생물종에게 서식처와 먹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새, 곤충 등 이동성이 있는 생물들에게는 도시 생태계 내에서 중요한 거점(stepping stone)이 될 수 있다.38 예를 들어, 도시 양봉은 도시농업 공간을 활용하여 꿀벌과 같은 중요한 수분 매개자의 서식 환경을 개선하고 개체수를 늘리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한다.42

도시 내 녹지 공간을 확대하는 것은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핵심 전략이며 20, 도시농업은 이러한 녹지 확보의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아주 작은 녹지 패치라도 도시 생태계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38, 따라서 도시 개발 및 공간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물다양성 보전 및 증진을 위한 고려가 통합되어야 한다.43

도시농업이 지원하는 생물다양성은 단순히 보기 좋은 경관을 만드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한다. 꿀벌과 같은 수분 매개 곤충은 42 도시농업 경작지 자체의 생산성뿐만 아니라 주변 식물들의 결실에도 필수적이다. 토양 내 미생물 군집은 유기물 분해와 양분 순환을 촉진하여 토양 비옥도를 높인다. 이처럼 도시농업 활동은 생물다양성을 지원하고, 그 생물다양성은 다시 도시농업의 생산성과 도시 생태계 전체의 건강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상호 강화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따라서 생물다양성 증진은 도시농업의 부가적인 혜택이 아니라, 시스템의 생산성과 회복탄력성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3. 도시 구조의 재편성: 사회적 필요성

공동체 형성: 사회적 유대와 네트워크 강화

현대 도시는 익명성과 개인주의 심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도시농업, 특히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텃밭(Community Garden)이나 주말농장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3

텃밭을 함께 가꾸는 활동은 자연스럽게 이웃 간의 대화와 협력을 촉진한다.4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동 작업을 통해 소속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고 공동체 의식을 회복하는 데 기여한다.4 미국의 공동체 텃밭 사례는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함께 어울리는 공간을 제공하고 13, 심지어 지역 사회의 범죄율 감소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

이러한 공동체 활동은 단순한 친목 도모를 넘어 사회적 자본 축적의 기반이 된다. 도시농업 활동을 통해 형성된 네트워크는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과 같은 커뮤니티 비즈니스로 발전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으며 21,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직접적인 교류와 협력을 증진시키는 역할도 한다.21

특히 주목할 점은, 공동체 텃밭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중립적인 공간'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령,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른 도시민들이 4 농사라는 공동의 긍정적인 활동을 매개로 상호작용하면서 사회적 장벽을 낮추고 상호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는 다른 도시 공간에서는 쉽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사회 통합 효과를 창출하며, 더욱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는 사회 구조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실제로 한 연구에서는 흑인 참여자들이 개인적 영향보다 집단적, 공동체적 영향을 더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48

건강과 웰빙 증진: 신체적 및 정신적 혜택

도시농업 활동은 도시민의 건강 증진에 다방면으로 기여한다. 텃밭을 가꾸는 행위는 그 자체로 신체 활동량을 늘려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3 일부 연구에서는 공동체 텃밭 참여자들이 비참여자들에 비해 비만율이 낮다는 결과를 보고하기도 했다.45

정신 건강 측면에서의 이점은 더욱 두드러진다. 자연과 교감하고 식물을 돌보는 활동은 스트레스 해소, 심리적 안정감 증진 등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3 단순히 녹색 식물을 보는 것만으로도 지친 정신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

또한, 직접 재배한 신선하고 안전한 채소를 섭취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식습관 개선과 영양 상태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45 도시농업은 전반적인 건강 수준 향상에 기여하며, 나아가 도시 내 건강 불평등 완화에도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52 한국의 경우, 도시농업이 창출하는 건강 증진 가치는 연간 4,21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37

이러한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들을 고려할 때, 도시농업은 일종의 '예방적 건강 관리' 수단으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신체 활동 증진, 스트레스 감소, 사회적 교류 촉진, 영양 개선 등 건강의 여러 결정 요인에 동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45, 만성 질환 예방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공중 보건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에 대한 투자는 단순한 여가 지원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민 건강 증진과 의료 시스템 부담 완화를 위한 효과적인 공중 보건 개입 전략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배움의 장: 교육, 인식 개선, 기술 함양

도시농업 공간은 모든 연령대,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귀중한 학습의 장을 제공한다.3 텃밭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자연의 순환, 식물이 자라는 과정, 먹거리의 소중함, 생태계의 원리 등을 직접 체험하며 배울 수 있다.3

이러한 직접적인 경험은 음식의 출처와 계절성, 농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3 또한, 씨앗 뿌리기, 물 주기, 잡초 뽑기, 수확하기 등의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실질적인 농업 기술을 습득하게 되며, 퇴비 만들기 등 자원 순환의 원리를 배우는 기회도 얻을 수 있다.3

도시농업과 연계된 교육 프로그램은 환경 보전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11 한국에서는 도시농업의 교육적 가치가 연간 4,688억 원으로 평가될 만큼 그 중요성이 인정받고 있다.37

고도로 도시화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소비하는 음식이 어떻게 생산되는지 알지 못한 채 살아간다. 도시농업은 이러한 단절을 극복하고 도시민과 식량 시스템을 다시 연결하는 강력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먹거리가 생산되는 과정을 직접 경험하는 것은 3 음식에 대한 감사함을 느끼게 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태도를 함양하며,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장려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경험은 시민들이 식량 문제, 농업 정책, 지속가능성 등 더 넓은 사회적 이슈에 대해 더 많은 정보와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21

형평성 증진: 식량 접근성 및 사회 정의 문제 해결

도시농업은 사회적 형평성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잠재력을 지닌다. 특히 신선 식품 매장이 부족한 '푸드 데저트(Food Desert)' 지역이나 저소득층 밀집 지역에서 저렴하고 신선하며 문화적으로 적합한 먹거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24 실제로 저소득층 지역에 텃밭을 조성하여 수확물을 저렴하게 공급하거나 7, 지역 식량 체계를 통해 식량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55

도시농업은 저소득 가구, 노인, 이주민 등 취약 계층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11 또한, 텃밭 관리, 농산물 판매, 관련 교육 등과 연계하여 소외 계층에게 경제적 기회, 직업 훈련, 나아가 일자리를 제공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11

그러나 도시농업의 형평성 증진 효과는 자동적으로 보장되지 않는다. 도시농업 활동에 참여할 기회 자체가 불평등하게 배분될 수 있으며 39, 토지 접근성, 정보 부족, 시간 제약, 비용 부담, 문화적 장벽 등 다양한 요인이 특정 집단의 참여를 가로막을 수 있다.22 일부 연구에서는 특정 인구 집단(예: 미국 일부 도시의 고소득, 백인)이 도시농업 참여를 주도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했다.60

따라서 도시농업을 통해 진정한 사회적 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노력'이 필수적이다. 정책 입안자들은 단순히 텃밭 공간을 만드는 것을 넘어, 소외 계층이 직면한 구체적인 장벽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여기에는 접근성이 좋은 위치 선정, 저렴한 참여 비용 또는 지원, 다국어 정보 제공, 지역 문화에 맞는 작물 선택 장려, 포용적인 운영 구조 설계, 그리고 지역 사회 복지 프로그램과의 연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22 즉, 형평성 제고는 수동적인 기대가 아닌, 적극적인 계획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추구해야 할 목표이다. 이를 통해 도시농업은 식량 주권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의 역량을 증진시키는 사회 정의 실현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다.22

4. 도시 식량 확보: 먹거리 시스템의 필요성

식량 안보 강화 및 지역 회복력 증진

도시농업은 도시 내에서 직접 식량을 생산함으로써 지역의 식량 공급 능력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3 이는 각 가정이 직접 먹거리를 확보하여 가계 식량 안보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47, 특히 전 세계 인구 증가 31와 기존 식량 시스템의 취약성 28을 고려할 때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도시 내에서 식량 공급원을 다변화하고 생산지와 소비지 간의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도시농업은 기후 재난, 팬데믹, 지정학적 갈등 등 외부 충격에 대한 도시 먹거리 시스템의 회복탄력성을 높인다.10 이는 지역 사회가 자신들의 먹거리 공급원에 대해 더 많은 통제권을 갖는 '식량 주권(Food Sovereignty)' 개념과도 맞닿아 있다.22

물론 도시농업이 전통적인 대규모 농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신선한 채소와 같이 유통 기한이 짧고 장거리 운송이 어려운 품목을 중심으로 4 도시의 식량 공급을 보완하고 다양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전통적인 농업 시스템은 대규모 농장에서 생산된 식량이 복잡하고 긴 유통망을 통해 도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중앙 집중식 모델에 가깝다. 반면, 도시농업은 소비 중심지인 도시 내부에 다수의 소규모 생산 거점을 분산시키는 네트워크 형태를 띤다.1 이러한 분산형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중앙 집중식 시스템보다 회복력이 높다. 특정 생산지나 운송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19, 도시 내 다른 생산 거점들이 여전히 작동하여 최소한의 지역 공급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며 도시 먹거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공급망 단축: 신선도, 안전성, 환경 발자국 감소

도시 내 또는 인근에서 식량을 생산하는 것은 생산지에서 식탁까지의 물리적 거리, 즉 '푸드 마일리지(Food Mileage)'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10 이는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첫째, 운송 시간이 최소화되면서 소비자들은 훨씬 신선하고 영양가 높은 농산물을 접할 수 있게 된다.3 둘째, 장거리 운송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와 그에 따른 탄소 배출량이 크게 줄어들어, 먹거리 시스템의 환경 발자국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한다.10 셋째, 생산 과정과 유통 경로가 단순화되면서 투명성이 높아지고, 소비자들이 자신이 먹는 음식의 출처를 쉽게 알 수 있게 되어 식품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3 소비자들은 실제로 농산물의 원산지 정보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64

이러한 특징들은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로컬푸드(Local Food) 운동 및 '팜투테이블(Farm-to-Table)' 개념과 일치하며,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사회적, 경제적 거리를 좁히고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21

도시농업은 '로컬(Local)'의 개념을 극단까지 밀어붙여,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 바로 그곳에서 식량을 생산한다. 이는 단순히 지역(Region) 단위의 로컬푸드를 넘어선 '초지역화(Hyper-localization)'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극단적인 근접성은 신선도를 극대화하고 운송 영향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10, 소비자와 식량 생산 과정 사이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를 없애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다. 공동체 텃밭이나 옥상 농장 등 눈에 보이는 곳에서 식량이 자라는 것을 목격하는 경험 1은 소비자의 식습관, 음식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량 시스템에 대한 관심에 훨씬 더 직접적이고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생산 혁신: 수직농장과 기술의 역할

수직농장(Vertical Farm)은 도시농업의 첨단 기술 집약적 형태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건물의 수직 공간을 활용하여 통제된 환경 농업(Controlled Environment Agriculture, CEA) 기술을 기반으로 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이다. 주로 수경재배(Hydroponics), 분무경재배(Aeroponics), 아쿠아포닉스(Aquaponics)와 같은 무토양 재배 기술과 LED 조명, 자동화된 환경 제어 시스템 등이 활용된다.6

수직농장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높은 공간 효율성: 동일 면적 대비 훨씬 많은 양의 작물을 생산할 수 있어 토지 이용 효율을 극대화한다.6
  • 물 사용량 절감: 물 재활용 시스템을 통해 전통 농업 대비 물 사용량을 최대 90~95%까지 줄일 수 있다.6
  • 연중 안정적 생산: 외부 기후나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1년 365일 계획적인 생산이 가능하다.6
  • 농약 사용 감소: 통제된 환경 덕분에 병해충 발생 위험이 낮아 농약이나 제초제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14
  • 자동화 및 노동력 절감: 파종, 관리, 수확 등 일부 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18
  • 소비지 근접 생산: 도시 내 생산을 통해 신선도를 높이고 운송 비용 및 탄소 배출을 줄인다.14

반면, 다음과 같은 단점과 과제도 존재한다:

  •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첨단 시설과 기술 도입에 상당한 초기 자본이 필요하다.15
  • 에너지 소비: 인공조명과 항온항습 등 환경 제어를 위해 많은 전력이 소모된다.15
  • 기술 의존성 및 고장 위험: 복잡한 시스템에 의존하므로 기술적 결함 발생 시 생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15
  • 전문 인력 필요: 시스템 운영 및 작물 관리를 위한 전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18
  • 제한된 작물 다양성: 현재 기술 및 경제성 문제로 주로 잎채소, 허브, 딸기 등 일부 고부가가치 작물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다.15

이러한 도전 과제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수직농장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18, 특히 토지가 부족하거나 기후 조건이 불리한 지역에서 미래 도시 먹거리 시스템의 중요한 축으로 주목받고 있다.6

수직농장과 같은 첨단 기술 기반 도시농업과 공동체 텃밭과 같은 전통적 방식의 도시농업은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직농장은 통제된 환경에서 특정 작물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대량 생산에 강점을 가진다.14 이는 도시의 기본적인 신선 채소 수요를 충족시키고 공급망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반면, 공동체 텃밭이나 옥상텃밭 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사회적 교류 증진, 교육 기회 제공, 지역 주민의 정서 함양 등 공동체적 가치 창출에 더 큰 강점을 보인다.3 또한, 지역 주민의 선호도나 문화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작물을 소규모로 재배하기에도 더 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도시 먹거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과 공동체 기반의 참여형 시스템이 조화롭게 공존하고 발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5. 결론: 도시농업, 핵심 도시 전략으로의 통합

다차원적 필요성의 종합

본 보고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농업은 미래 도시가 직면한 복합적인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필요성을 지닌다. 환경적 측면에서 도시농업은 도시의 녹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열섬 현상을 완화하며, 빗물 관리를 개선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켜 더 푸르고 시원하며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다(2장). 사회적으로는 파편화된 도시 공동체를 연결하고, 시민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시키며, 중요한 교육의 장을 제공하고, 나아가 사회적 형평성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장). 먹거리 시스템 측면에서는 도시의 식량 자급률을 높이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며, 시민들에게 신선하고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고, 기존 공급망의 환경 부담을 줄이며,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4장).

이러한 환경적, 사회적, 식량 시스템적 필요성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도시농업을 통해 확보된 녹지 공간은 시민들의 휴식과 건강 증진(사회적)에 기여하는 동시에 수분 매개 곤충의 서식지가 되어 식량 생산(먹거리)을 돕는다. 공동체 활동을 통한 사회적 참여는 텃밭 관리(환경)와 로컬푸드 시스템 활성화(먹거리)로 이어질 수 있다. 지역 내 식량 생산은 운송 거리 단축(환경)과 함께 공동체 교류 증진(사회)이라는 부가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이처럼 도시농업은 여러 영역에 걸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만들어내는 핵심적인 연결고리(nexus) 전략이다.

양적·질적 가치 제안

도시농업의 중요성은 구체적인 수치로도 확인된다. 농촌진흥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도시농업은 경제적 가치 3조 1,090억 원, 사회적 가치 1조 3,416억 원, 환경적 가치 7,861억 원을 합쳐 총 5조 2,367억 원에 달하는 막대한 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37 세부적인 가치 평가 내역은 아래 표와 같다.

 

표 2: 한국 도시농업의 가치 평가 (2022년 기준)

구분 세부 항목 가치 평가액 (억 원)
경제적 총계 31,090
  농산물 소비 증가 효과 573
  농자재, 일자리 등 산업 파급 효과 30,517
사회적 총계 13,416
  건강 증진 (신체 활동, 심리·정서 안정) 4,211
  공동체 회복 (가족 관계 개선, 이웃 교류 증진) 1,455
  문화적 가치 (여가, 취미 활동 활성화) 3,062
  교육 증진 효과 (미래 세대 대상) 4,688
환경적 총계 7,861
  생태적 가치 (생물 다양성 증진) 1,810
  환경 정화 가치 (공기 정화, 탄소 저감, 열섬 완화) 1,854
  옥상 녹화, 도시 녹화 등 1,789
총 가치   52,367

출처: 농촌진흥청 보도자료 (2023.08.24) 재구성 37

이러한 정량적 평가액 외에도, 도시농업이 제공하는 질적인 가치 역시 매우 중요하다. 공동체 유대감 강화, 정신 건강 개선, 교육적 경험을 통한 성장, 시민 참여 증진, 자연과의 연결성 회복 등은 숫자로 측정하기 어렵지만 도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 전체의 활력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

도시 계획, 정책, 공동체 개발과의 통합 촉구

도시농업이 지닌 다차원적인 필요성과 막대한 가치를 고려할 때, 이는 더 이상 도시 정책의 변두리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도시농업은 도시 계획, 환경 정책, 복지 정책, 교육 정책, 경제 정책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핵심적인 도시 발전 전략으로 통합되어야 한다.10

이를 위해서는 도시농업 활동을 지원하고 장려하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관련 조례 제정 및 정비, 도시 계획 및 개발 사업 시 도시농업 공간 확보 의무화 또는 인센티브 제공, 유휴 국공유지 활용 지원, 관련 예산 확보 등이 필요하다.39 또한, 정부, 지방자치단체, 시민사회, 기업, 연구기관 등 다양한 주체 간의 파트너십 구축과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한다.21

이미 세계 여러 도시에서는 도시농업을 중요한 정책 의제로 삼고 다양한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일본은 일찍이 도시농업진흥기본법을 제정하여 법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25, 서울시는 2012년을 도시농업 원년으로 선포하고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왔다.55 밴쿠버는 먹거리 전략의 핵심 요소로 도시농업을 포함시키고 유휴지 활용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며 58, 쿠바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도시농업을 통해 식량 자급률을 높인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75 아래 표는 주요 국제 도시농업 사례와 시사점을 요약한 것이다.

 

표 3: 주요 국제 도시농업 사례 및 시사점

도시/프로젝트 주요 특징 주요 성과 및 시사점
미국 뉴욕 / 그린섬(GreenThumb) 1970년대 재정 위기 시 공한지 활용 시작, 시영 도시텃밭 사업, 시민 참여 중심 72 미국 최대 규모(600개소, 2만명 참여), 커뮤니티 주도 관리, 도시 재생 및 공동체 활성화 기여 72
쿠바 아바나 / 오가노포니코 등 1990년대 경제 위기 극복 위한 국가 주도 유기농 도시농업, 다양한 재배 방식(오가노포니코 등) 75 식량 자급률 향상(채소, 허브 등 연 10만톤 이상 생산), 농업생태기술 발전, 지역 소비 중심, 의료 분야 기여 75
일본 도쿄 / 파소나 O₂ 기업(파소나 그룹) 주도, 본사 건물 내외부 활용(지하 식물공장, 벽면녹화), 인재 육성 연계 54 100종 이상 작물 재배, 도시 미관 개선,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모델 제시 54
캐나다 밴쿠버 / 솔푸드(SOLEfood) 사회적 기업 주도, 도심 유휴지(주차장 등) 활용, 소외계층 고용 및 훈련 연계 58 지역사회 식량 공급,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및 자립 지원, 도시농업의 사회적경제 모델 성공 사례 58
싱가포르 국토 협소 극복 위한 정부 주도 수직농장 적극 추진 63 식량 자급률 향상 목표, 첨단 기술 도입, 도시 공간의 입체적 활용 모델 제시 63
미국 / 공동체 텃밭 운동 시민사회 주도, 저소득층 식량 접근성 개선, 사회 통합, 교육 목적 등 다양 11 지역사회 문제 해결(영양 불균형, 비만, 범죄율 감소 등), 다양한 인종/세대 간 교류 촉진, 풀뿌리 운동의 중요성 강조 11

21세기의 복잡하고 상호 연결된 도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농업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도시농업을 도시의 핵심 전략으로 포용하고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은 모든 시민이 건강하고 안전하며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미래 도시를 건설하는 데 필수적인 발걸음이 될 것이다.

 

참고 자료

  1. 텃밭과 정원 :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busan.go.kr/nongup/urbanagriculture02
  2. 2021년 서울시 도시농업 육성 시행 계획 - 서울농부포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cityfarmer.seoul.go.kr/fileManager/www/brd/6622/1621229398250.pdf
  3. www.rda.go.kr,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rda.go.kr/download_file/act/bookcafe032.PDF
  4. 도시농업이란 ‥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qlswhddl&logNo=222142304532&categoryNo=17&parentCategoryNo=0
  5.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유형을 통한 공간연구 - KAIS(사) 한국산학기술학회,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kais99.org/jkais/journal/Vol18No02/vol18no02p57.pdf
  6. 수직농업 자동화의 중요성, 사례, 전망 - 삶을 바꾼 비지니스,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lifelongbiz.com/entry/%EC%84%B8%EB%A1%9C-%EC%88%98%EC%A7%81-%EB%86%8D%EC%97%85%EC%9D%98-%EC%A4%91%EC%9A%94%EC%84%B1%EA%B3%BC-%EB%AF%B8%EB%9E%98-%EC%A0%84%EB%A7%9D-%EC%95%8C%EC%95%84%EB%B3%B4%EA%B8%B0
  7. 도시농업 이란????????? - 농작물 정보 - 아이러브 만덕텃밭 & 바다사랑 - Daum 카페,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cafe.daum.net/ejung9421/RDeI/18?
  8. 지구와 환경을 보호하는 방법, 도시농업 - Naver Blog,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green-solar/221592995114
  9. 지붕 위의 도시 식량 인큐베이터 - From A,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froma.co/%EC%A7%80%EB%B6%95-%EC%9C%84%EC%9D%98-%EB%8F%84%EC%8B%9C-%EC%8B%9D%EB%9F%89-%EC%9D%B8%ED%81%90%EB%B2%A0%EC%9D%B4%ED%84%B0/
  10. 스마트팜을 적용한 도시농업이 도시를 재생시킬 수 있을까?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tnglab/222382849053
  11. 세계의 도시농업 정책 - 가든프로젝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gardenproject.co.kr/?p=4763
  12. 시애틀 공동체텃밭, 따뜻한 사회적 참여와 교류의 장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B8%EA%B3%84%EC%99%80%EB%8F%84%EC%8B%9C%203%ED%98%B8%20%ED%8A%B9%EC%A7%912.pdf
  13. 농촌 핫이슈 사회적 농업? 공동체 텃밭으로 오세요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nong-up/221304451702
  14. 기후 변화에 의한 미래 농업을 위한 수직 농장의 가능성 - 꿈의극장,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dreamtheater.tistory.com/entry/%EA%B8%B0%ED%9B%84-%EB%B3%80%ED%99%94%EC%97%90-%EC%9D%98%ED%95%9C-%EB%AF%B8%EB%9E%98-%EB%86%8D%EC%97%85%EC%9D%84-%EC%9C%84%ED%95%9C-%EC%88%98%EC%A7%81-%EB%86%8D%EC%9E%A5%EC%9D%98-%EA%B0%80%EB%8A%A5%EC%84%B1
  15. 수직농장 수직농업 뜻 개념 규제완화로 스마트팜 기술 성장가속화 - Naver Blog,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blog.naver.com/hwh8522/223457851379
  16. 농업 혁명 수직 농업의 부상과 전망 - 서울WEB3,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www.seoulweb3.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
  17. KIEAE Journal,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kieae.kr/_common/do.php?a=full&b=12&bidx=980&aidx=12994
  18. 수직 농업과 그 글로벌 영향에 대한 심층 분석 - Securities.io,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securities.io/ko/%EC%88%98%EC%A7%81-%EB%86%8D%EC%97%85%EA%B3%BC-%EA%B7%B8%EA%B2%83%EC%9D%B4-%EC%A0%84-%EC%84%B8%EA%B3%84%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EC%97%90-%EB%8C%80%ED%95%9C-%EC%8B%AC%EC%B8%B5-%EB%B6%84%EC%84%9D/
  19. 글로벌 트렌드 미래형 도심 속 농장, 수직농장 - 월간 통상,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tongsangnews.kr/webzine/1942007/sub4_3.html
  20. [기후재난과 건축] 건물 내 식물은 도시의 허파가 될 수 있는가?,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vmspace.com/report/report_view.html?base_seq=MTc5NA==
  21. 도시빈곤과 농촌소외 를 퇴치 할 수 있는 방법은? - 경상북도환경연수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igreen.or.kr/aboard/view.html?a_tname=aboard_list_customer&b_idx=72&category=&search=&keyword=&page=3
  22. NE2401 Urban Agriculture: Equity,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Development - NIMSS,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imss.org/projects/view/mrp/outline/19111
  23. [Issue+] 수직농장, 농업의 미래가 될 수 있을까,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3176
  24. 우리 주변의 도시농업-도시농업의 필요성과 외국사례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aljihuson/120127958070
  25. repository.krei.re.kr,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195/1/%EC%9D%BC%EB%B3%B8%20%EB%8F%84%EC%8B%9C%EB%86%8D%EC%97%85%EC%A7%84%ED%9D%A5%EA%B8%B0%EB%B3%B8%EB%B2%95%20%EC%A0%9C%EC%A0%95%EC%9D%98%20%EC%9D%98%EC%9D%98%20%3A%20%EB%86%8D%EC%97%85%EA%B3%BC%20%EA%B3%B5%EC%A1%B4%ED%95%98%EB%8A%94%20%EB%8F%84%EC%8B%9C%EA%B3%B5%EA%B0%84%20%ED%98%95%EC%84%B1.pdf
  26. [보고서]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활성화 방안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600011917
  27. 도시지역 자연환경 훼손 진단과 복원 방향,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KCRK190813/OTKCRK190813.pdf
  28. 기후변화가 식량공급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대응방안,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0229/1/R663.pdf
  29. 식량안보 관점의 북한 신흥안보 위기와 남북협력(1년차)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ipus.snu.ac.kr/wp-content/uploads/2023/03/5.-2022-%ED%86%B5%EC%9D%BC%ED%8F%89%ED%99%94%EA%B8%B0%EB%B0%98%EA%B5%AC%EC%B6%95%EC%82%AC%EC%97%85-%EA%B2%B0%EA%B3%BC%EB%B3%B4%EA%B3%A0%EC%84%9C_%EA%B7%B8%EB%A6%B0%EB%B0%94%EC%9D%B4%EC%98%A4%EA%B3%BC%ED%95%99%EA%B8%B0%EC%88%A0%EC%97%B0%EA%B5%AC%EC%9B%90%EC%A7%80%EC%84%B1%ED%83%9C.pdf
  30. 과학정책기술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stepi.re.kr/skin/doc.html?fn=05fea9fcb6297f27d12f16aa3985741c&rs=/preview/html/202504
  31.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 농업,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d.kdb.co.kr/fileView?groupId=8C3A6189-36B9-D6EF-FDDE-42B4D240D5A8&fileId=24356_binary1_1.pdf
  32. 지난 포럼 소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뉴스레터,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arangdesign.com/mail/krei/201704/news0.html
  33. 기후변화와 식량안보,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30191/1/E03-2019-12-05.pdf
  34.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내용보기,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nkis.re.kr/subject_view1.do?otcCd=RG&otcNm=%EC%9D%BC%EB%B0%98%EC%97%B0%EA%B5%AC%EB%B3%B4%EA%B3%A0%EC%84%9C&otpId=OTP_0000000000012935&otpSeq=0&eoSeq=383102
  35. 유엔식량농업기구 한국협회 | KOREA FAO ASSOCIATION,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fao.or.kr/html/storage/trend.php?sno=276&group=basic&code=B6&category=94&&abmode=view&no=1719&bsort=desc&bfsort=ino
  36. 세계농업 - KREI Repository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5321/1/E03-2020-09.pdf
  37. 도시농업 경제가치 '5조원' 훌쩍 넘어 - 한국농촌경제신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kenews.co.kr/news/article.html?no=83695
  38. 가로수 등 생물다양성 증진 고려해 녹지공간 관리..도시생태계 살린다 - 제주환경일보,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5762
  39. 서울지역 녹지서비스의 환경형평성 분석 - 한국조경학회지,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jkila.org/archive/view_article?pid=jkila-47-2-100
  40. 도시 농업에 대해 알아보자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m.blog.naver.com/fact_korea/221468415406
  41. 도시정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동향,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www.kigd.co.kr/docu/journal/0701/06_%EB%8F%84%EC%8B%9C%EC%A0%95%EC%9B%90%EC%9D%98_%EC%83%9D%ED%83%9C%EA%B3%84%EC%84%9C%EB%B9%84%EC%8A%A4_%ED%8F%89%EA%B0%80%EB%B0%A9%EB%B2%95%EC%97%90_%EA%B4%80%ED%95%9C_%EC%97%B0%EA%B5%AC_%EB%8F%99%ED%96%A5.pdf
  42. SDG-15-해설서-우리의-지속가능한-생물다양성.pdf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unesco.or.kr/wp-content/uploads/2024/10/SDG-15-%ED%95%B4%EC%84%A4%EC%84%9C-%EC%9A%B0%EB%A6%AC%EC%9D%98-%EC%A7%80%EC%86%8D%EA%B0%80%EB%8A%A5%ED%95%9C-%EC%83%9D%EB%AC%BC%EB%8B%A4%EC%96%91%EC%84%B1.pdf
  43. 차시 도시생태계 기능향상을 위한 도시개발계획 3 .,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jeec.or.kr/board/2023/06/14/1686710774_de558976bf73ec6a4f71.pdf
  44. [도시농업 성공사례] 벽을 허물고 공동체를 살리는 자원순환 텃밭학교 - YouTube,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yflGCd496Ss
  45. Scoping review of the impacts of urban agriculture on the determinants of health - PMC,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545001/
  46. New study measures reported impacts and motivations across types of urban agriculture,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ph.cuny.edu/life-at-sph/news/2021/04/27/urban-agriculture/
  47. The Socio-Cultural Benefits of Urban Agricultu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 MDPI,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mdpi.com/2073-445X/11/5/622
  48. Practices of Care and Relationship-Building: A Qualitative Analysis of Urban Agriculture's Impacts on Black People's Agency and Wellbeing in Philadelphia - PubMed Central,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0049229/
  49. 푸드플랜, 먹거리 정책의 전환과 과제 - 농업전망,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aglook.kr/event/uEventData/1/download/781/6325/pdf
  50. 지역 푸드플랜 실태와 정책과제 - KREI Repository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4661/1/R884.pdf
  51. FCS3378/FY1517: Social and Community Benefits and Limitations of Urban Agriculture,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edis.ifas.ufl.edu/publication/FY1517
  52. 건강형평성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사업 - Korea Science,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0608505209360.pdf
  53. 농촌·도시 건강실태 및 의료비용 효과 비교와 정책과제,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4943/1/P257.pdf
  54. 세계의 도시농부들-세계와 우리나라 도시농업의 현주소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blog.naver.com/pj2ansan/220460849785
  55. www.si.re.kr,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si.re.kr/sites/default/files/2012-PR-35.pdf
  56. 푸드플랜 시대, 지역단위 푸드플랜의 방향과 전략,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repository.jthink.kr/bitstream/2016.oak/198/1/151030_%EC%9D%B4%EC%8A%88-145-%ED%91%B8%EB%93%9C%ED%94%8C%EB%9E%9C%20%EC%8B%9C%EB%8C%80%2C%20%EC%A7%80%EC%97%AD%EB%8B%A8%EC%9C%84%20%ED%91%B8%EB%93%9C%ED%94%8C%EB%9E%9C%EC%9D%98%20%EB%B0%A9%ED%96%A5%EA%B3%BC%20%EC%A0%84%EB%9E%B5_%ED%99%A9%EC%98%81%EB%AA%A8%28%EC%B5%9C%EC%A2%85%29.pdf
  57. Urban Agriculture's Potential to Advance Multiple Sustainability Goals -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ourcepanel.org/sites/default/files/documents/document/media/urban_agriculture_pol.pdf
  58. 세계 도시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B8%EA%B3%84%EC%99%80%EB%8F%84%EC%8B%9C%203%ED%98%B8%20%EC%9B%B9%EC%9A%A9%20%EC%96%91%EB%A9%B4.pdf
  59. 도시 공원의 복지 가치 개념과 효과,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125476/1/000000067199.pdf
  60. Who Gardens and How in Urban USA: Informing Social Equity in Urban Agriculture Action Plans - Frontiers,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sustainable-food-systems/articles/10.3389/fsufs.2022.923079/full
  61. 전라북도 먹거리 종합계획 추진전략 연구 - Jthink Repository - 전북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repository.jthink.kr/bitstream/2016.oak/890/3/22PR28_22JU18_%EC%A0%84%EB%9D%BC%EB%B6%81%EB%8F%84%20%EB%A8%B9%EA%B1%B0%EB%A6%AC%20%EC%A2%85%ED%95%A9%EA%B3%84%ED%9A%8D%20%EC%B6%94%EC%A7%84%EC%A0%84%EB%9E%B5%20%EC%97%B0%EA%B5%AC_%ED%99%A9%EC%98%81%EB%AA%A8.pdf
  62. 농업 대국 브라질에 수직농장이 각광받는 이유 - 해외경제정보드림 - KOTRA 무역투자24,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dream.kotra.or.kr/user/extra/kotranews/bbs/linkView/jsp/Page.do?dataIdx=193689
  63. 미래의 식량 생산을 뒷받침하는 도시농업의 해외 사례 - IRS글로벌,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irsglobal.com/bbs/rwdboard/23341
  64. 요새 로컬푸드, 로컬푸드 하죠? - RDA인테러뱅 - 농사로 농업기술포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v/psvr/psvrc/rdaInterDtl.ps?menuId=PS00063&cntntsNo=99019
  65. 로컬푸드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 - 제주대학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oak.jejunu.ac.kr/bitstream/2020.oak/21002/2/%EB%A1%9C%EC%BB%AC%ED%91%B8%EB%93%9C%EA%B0%80%20%EB%86%8D%EC%97%85%EC%9D%98%20%EC%A7%80%EC%86%8D%EA%B0%80%EB%8A%A5%EC%84%B1%EC%97%90%20%EB%AF%B8%EC%B9%98%EB%8A%94%20%EC%98%81%ED%96%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pdf
  66. 푸드플랜, 추진전략과 활성화 방안 - 농업관측센터,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aglook.krei.re.kr/main/uEventData/1/download/683/5759/pdf
  67. 선진국의 도시 먹거리 계획 : 캐나다 토론토 사례를 중심으로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B8%EA%B3%84%EC%99%80%EB%8F%84%EC%8B%9C%203%ED%98%B8%20%ED%8A%B9%EC%A7%913.pdf
  68. vol.21-12::해외시장 돋보기 :: 실내 농업,새롭게 떠오르는 도시 농업의 미래,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kvicnewsletter.co.kr/page/view.php?idx=257
  69. 식물공장이란? 장점과 단점, 성공사례, 미래 가능성 - 농업의 참견,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jejudamda.tistory.com/entry/%EC%8B%9D%EB%AC%BC%EA%B3%B5%EC%9E%A5%EC%9D%B4%EB%9E%80-%EC%9E%A5%EC%A0%90%EA%B3%BC-%EB%8B%A8%EC%A0%90-%EC%84%B1%EA%B3%B5%EC%82%AC%EB%A1%80-%EB%AF%B8%EB%9E%98-%EA%B0%80%EB%8A%A5%EC%84%B1
  70. 농업 대국 브라질에 수직농장이 각광받는 이유 - | EMERiCs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emerics.org:446/businessDetail.es?brdctsNo=328245&mid=a10400000000&systemcode=06
  71. 카타르의 꽃 피는 원예 시장: 성장하는 오아시스 - AIF,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kiep.go.kr/aif/businessDetail.es?brdctsNo=355117&mid=a30400000000&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search_tagkeyword=&systemcode=05&search_region=&search_area=¤tPage=1&pageCnt=10
  72. 세계와 도시 - | 서울정책아카이브 Seoul Solution,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EC%84%B8%EA%B3%84%EC%99%80%EB%8F%84%EC%8B%9C%203%ED%98%B8%20%EB%8B%A8%EB%A9%B4.pdf
  73. [푸드플랜 특집1] 먹거리공공성 강화 '푸드플랜' - 팜인사이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farminsight.net/news/articleView.html?idxno=659
  74. 연구보고서 - 서울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si.re.kr/bbs/view.do?key=2024100039&pstSn=1408220002
  75. 쿠바의 도시농업 - KREI Repository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1572/1/%EC%BF%A0%EB%B0%94%EC%9D%98%20%EB%8F%84%EC%8B%9C%EB%86%8D%EC%97%85.pdf
  76. 나도 도시농부가 될 수 있을까? - 뉴욕 그린섬(Green Thumb) 프로그램 - 네이버 블로그,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m.blog.naver.com/rda2448/221260370956
  77. 지구 지키는 도시농업, 해외 성공 사례는? - 이코리아,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942
  78. 텃밭5, 도시 농업의 사회적 기능(해외 사례) - 자닮, 4월 11, 2025에 액세스, http://m.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15330

 

반응형